1. 골관절염(퇴행성 관절염)
-
정의: 뼈의 끝부분을 덮고 있는 연골이 닳아 없어지거나 다양한 원인으로 관절에 염증 변화가 생긴 상태.
- 관절질환 중 가장 흔하며 나이가 들면서 증가.
-
증상:
- 아침에 관절이 뻣뻣해지는 경직 현상, 일반적으로 30분 이상 걸리지 않음.
- 관절을 많이 사용할수록 통증이 심해짐.
-
치료 및 간호:
- 온, 냉요법, 마사지, 물리치료, 체중 조절.
- 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는 규칙적인 운동(예: 수영, 걷기).
- 칼슘과 비타민 D 섭취.
2. 류머티즘 관절염
-
정의: 자가면역질환, 유전질환(여성에게 호발), 젊은 나이에도 잘 발생.
-
증상:
- 좌우 대칭적으로 발생, 아침에 강직 증상이 심하고 몇 시간 동안 지속됨.
- 관절 증상과 관절 외 증상이 동반됨.
-
위험: 일상생활에 장애를 일으키고 심하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음.
3. 골다공증
-
원인:
- 중년 기 이후 여성, 폐경 또는 여성호르몬 결핍, 흡연, 음주, 카페인 다량 섭취.
-
증상: 허리 통증, 키가 작아짐, 잦은 골절.
-
치료 및 간호:
- 칼슘 섭취, 호르몬요법(에스트로겐 투여).
- 체중 부하 운동(걷기), 칼시토닌 복용.
- 골절 예방을 위한 등척성 운동 권장.
4. 고관절 골절
-
정의: 강한 외부 힘에 의해 고관절 뼈의 연결이 절단되는 것.
-
원인: 고령, 하지 기능 부전, 시력 장애, 골다공증, 저체중 등.
-
증상: 서혜부와 대퇴부의 통증, 움직임의 제한.
5. 수근관 증후군
-
정의: 손목의 수근관이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정중신경이 손상을 받는 것.
-
증상:
- 손가락과 손바닥의 저림, 통증, 감각 저하.
- 밤에 통증이 악화됨.
-
진단:
- 팔렌검사: 양측의 손등을 맞대고 미는 동작을 1분 정도 했을 때 손 저림이 심하면 수근관 증후군.
- 티넬 검사: 손목 정중신경을 두드려 통증을 확인.
-
간호:
- 수술 직후 손가락 운동 실시.
- 손목 보호대나 부목 사용.
- 진통제로 통증 관리.